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검색영역닫기 검색 검색영역닫기 ENGLISH 메뉴 전체보기 메뉴 전체보기

학술행사

총 게시글 33
23
리서치 스쿨

텐서들의 기하학과 수학 계산 소프트웨어 여름학교

2016-07-11 ~ 2016-07-14 |CAMP

텐서들의 기하학과 수학 계산 소프트웨어 여름학교 □ 일시: 2016.07.11 ~ 2016.07.14   □ 장소: CAMP, NIMS

자세히보기

22
리서치 스쿨

2016 암호여름학교

2016-06-27 ~ 2016-06-30 |CAMP

2016 암호여름학교 □ 일시: 2016.06.27 ~ 2016.06.30   □ 장소: CAMP, NIMS □ 조직위원 권대성(NSR) 염용진(국민대학교) □ 강연자 심경아(NIMS) 염용진(국민대학교) 윤아람(UNIST) 이수준(경희대학교) 이정근(NSR) 이주영(세종대학교) 이향숙(이화여자대학교) 장남수(세종사이버대학교) 천정희(서울대학교) 한동국(국민대학교)

자세히보기

21
리서치 스쿨

2016 NIMS-SKKU MDA-TDA Summer School

2016-06-24 ~ 2016-07-02 |제주대학교 |NIMS, 성균관대학교, 서울대학교, 제주대학교

2016 NIMS-SKKU MDA-TDA Summer School (Mathematical Big Data Analysis Program)   국가수리과학연구소(NIMS)와 성균관대학교 빅데이터 수리해석인력양성 사업단, 제주대학교가 공동주관하는 「2016 NIMS-SKKU MDA-TDA Summer School」이 6월 24일(금)부터 7월 2일(토)까지, 제주대학교 교양강의동에서 개최됩니다.   산업수학 및 빅데이터 분석에 관심이 있는 전국 수학과 학부/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이번 여름학교는  행렬기반데이터분석(MDA)과 위상기반데이터분석(TDA)을 중심으로 학부 3~4학년 수준의 데이터 해석과 Python, R 등의 프로그램 언어 특강, 산업체 인사 특강, 대학원생 산업체 프로젝터 수행결과 발표 등을 통하여 참여 학생들에게 빅데이터 분야의 중요성에 대한 동기부여와 산업수학 인재 육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산업수학 점화 프로그램 소속 학생은 물론 각 과의 추천을 받은 200여명의 학생중 160명을 선발하여 진행되는 이번 여름학교의 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행사개요]   ▶ 일자: 2016년 6월 24일(금) ~ 7월 2일(토) ▶ 장소: 제주대학교 교양강의동 4329호 ▶ 공동주최: NIMS, 성균관대학교, 서울대학교, 제주대학교 ▶ 참여대상: 산업수학 및 빅데이터 분석에 관심이 있는 전국 수학과 학부/대학원생 100여명 ▶ 구성: 강의, 그룹연구 및 빅데이터 X-프로젝트 수행 ▶ 조직위원: 임용도(성균관대), 정윤모(성균관대), 윤상운(성균관대), 김인재(미네소타대), 조도상(NIMS), 조진환(NIMS),                    국웅(서울대), 정승달(제주대), 김현민(부산대)   [주요 프로그램 안내] ▶ 강연자 - 주 강연자 김인재(미네소타대, MDA), 윤상운(성균관대, MDA), 정윤모(성균관대, Python), 국웅(서울대, TDA), Otta van Koert(서울대, TDA), 하일도, 장대홍(부경대, R), 김현민(부산대, 행렬분해법), 이호수, 이재화(성균관대) - 초청강연 박형주 (NIMS), 이용훈(KMS), 황보현(LGAd), 김지수(분당병원), 신진우(KAIST), 마민철(삼성SDS), 엄준상(매스웍스코리아), 길이만(성균관대 전자전기공학부), 박석봉(KMA), 송태민(한국보건사회연구원), CTO(아울네스트), 김경환(농촌진흥청) 외 - 대학원생 특강 김성운(성균관대 박사과정생) : 산업체(삼성SDA, 삼성전자, 농협) 빅데이터 프로젝트 수행 결과 및 인턴십 소개 SKKU 산업수학 점화프로그램 http:/bigs.skku.edu 2016 NIMS-SKKU MDA-TDA Summer School Mathematical Olle to Big Data 2016. 6. 24.~7. 2.(제주대학교) 초청특강 : 박형주 소장 (NIMS), 이용훈 회장(KMS), 황보현 상무(LGAd), 마민철 센터장(삼성SDS), CTO(아울네스트), 김경환 연구관(농촌진흥청), 신진우 교수(KAIST), 박석봉 센터장(KMA), 송태민 센터장(한국보건사회연구원) BIG DATA 주최: 국가수과학연구소, 성균관대학교, 서울대학교, 제주대학교 후원: 성균관대-응용대수 및 최적화 연구센터(SRC), 창의 연구단, BK21+사업단 조직위원: 임용도, 정윤모, 윤상운(성균관대),조도상, 조진환(NIMS), 김인재(미네소타대), 국웅(서울대), 정승달(제주대), 김현민(부산대)

자세히보기

20
리서치 스쿨

Korea PDE School #6

2016-02-15 ~ 2016-02-19 |NIMS, Daejeon, Korea

Korea PDE School #6 □ 일시: 2016.02.15. ~ 2016.02.19. □ 장소: NIMS, Daejeon, Korea □ 주제: Mathematical theory of vector fields and fluid equations   □ 등록 기간 : 2015.12.01 - 2016.01.22 ※ 등록 및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http://amath.kaist.ac.kr/pdeschool2016/

자세히보기

19
리서치 스쿨

YMC (Young Mathematician Camp) 2016 1기

2016-01-04 ~ 2016-01-07 |국가수리과학연구소 |국가수리과학연구소, 대한수학회

YMC (Young Mathematician Camp) 2016 1기 대한수학회와 국가수리과학연구소에서는 수학을 좋아하는 국내 일반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연 및 사회현상을 설명하는 수학의 다양한 면을 보여주고 경험하게 함으로써 수학을 좋아한다는 것이 자랑스러운 일임을 일깨우기 위하여 본 프로그램을 개최합니다. 캠프 기간 동안 개인 활동 대신 팀 활동을 기본으로 진행하여 일방적인 줄 세우기를 지양함과 동시에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합니다.   ▩ 행사 개요 일시 l 2016년 1월 4일(월) ~ 1월 7일(목) 장소 l 국가수리과학연구소 2층 주최 l 국가수리과학연구소, 대한수학회 대상 l 수학을 좋아하는 고등학생(추천을 통해 참가자 선정, 선정된 학생에게는 개별 공지) ▩  세부 일정 첨부파일 참조 ▩  준비물 수건 및 세면도구, 개인 의류, 개인 노트북(※ 무선 인터넷으로 웹 검색이 가능한 노트북이면 충분함; 노트북이 없을 경우 담당자에게 문의) ▩  문의 jjeong@nims.re.kr/ 042-828-5815, 담당자: 정정희 자연과 사회현상을 설명하는 수학의 다양한 면을 체험하고 수학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고자 이 프로그램을 준비하였습니다. YMC 2016에 수학을 좋아하는 고등학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조직위원 - 김선자 (조직위원장, 청운대학교) - 박부성 (경남대학교) - 양성덕 (고려대학교) - 엄상일 (KAIST) - 윤기헌 (성신여자대학교) - 조진환 (국가수리과학연구소) 강연자 - 김영훈(서울대학교) - 김종락 (서강대학교) - 양성덕 (고려대학교) - 엄상일 (KAIST) - 이상욱 (수원대학교) - 최일규 (KAIST) - 표준철 (부산대학교) 수학문화진흥위원장 - 이향숙 (위원장, 이화여자대학교)

자세히보기

18
리서치 스쿨

2015 수학 소프트웨어 여름캠프 (Mathematical Software Summer Camp)

조직위원장 ㅣ 정영주 , 조직위원 ㅣ 조진환, 양성덕, 황지원

2015-08-22 ~ 2015-08-22 |서울시 성북구 안암동 고려대학교 자연계 캠퍼스 아산이학관 5층 535호 |국가수리과학연구소와 고려대학교 이과대학 수학과, 다한테크

2015 수학 소프트웨어 여름캠프 Mathematical Software Summer Camp 1. 취지  이 여름캠프는 수학 프로그램을 이용한 코딩의 세계에 일반인들의 참여를 고취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올해는 Sage, Python, Mathematica를 대상으로 국내 사용환경 변화에 대한 소개, 그리고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본 지식을 조금은 갖추고 있는 분들을 대상으로 하는 Mathematica의 내부 구조에 대한 여러 강연들로 내용을 구성하였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2. 행사 개요 ◎ 일시 : 2015년 8월 22일(토) 오전 10:00 ~ 오후 6:00 ◎ 장소 : 서울시 성북구 안암동 고려대학교 자연계 캠퍼스 아산이학관 5층 535호 ◎ 주최 : 국가수리과학연구소와 고려대학교 이과대학 수학과, 다한테크 ◎ 후원 : 한국 매쓰매티카 연구회 ◎ 조직위원장 : 정영주 ◎ 조직위원 : 조진환, 양성덕, 황지원 3. 문의 ◎ 2015mssc@gmail.com (수신자는 `수학 소프트웨어 여름캠프 담당자’로 하여 주십시요.) 4. 기념품 및 경품 ◎ 모든 사전 등록자에게 Mathematica 30일 Professional 버전을 제공합니다. ◎ 모든 등록자에게 기념품을 드립니다. ◎ 모든 등록자를 대상으로 추첨을 통하여 경품을 드립니다. 5. 준비물  ◎ Mathematica가 설치된 노트북 지참을 권합니다. 6. 등록  대회의 원활한 운영과 향후 발전을 위하여 참석자 파악이 중요합니다. 사전등록을 해주시되, 부득이한 경우에만 현장 등록을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전 등록을 하기 위해선 다음 링크를 따라 가시기 바랍니다. http://math.korea.ac.kr/~mssc2015 7. 세부일정  ◎ 별첨 참조  

자세히보기

17
리서치 스쿨

Pure and Applied Number Theory School(L-functions, Dedekind Sums, Diophantine equations, permutation polynomials, modular forms)

2015-08-09 ~ 2015-08-11 |CAMP

Pure and Applied Number Theory School (L-functions, Dedekind Sums, Diophantine equations, permutation polynomials, modular forms)   Date 08/09/2015 - 08/11/2015 Location CAMP   This school is intended to cover a vast range of topics  in Number Theory (Pure and Applied). It gives all participants an opportunity to interact and explore the recent trends and developments in the subject of classical and modern Number Theory focussing much attention in the analytic and algebraic aspects.

자세히보기

16
리서치 스쿨

동서양 수학사 여름학교 2015 구장산술과 타원곡선 이론의 기본과 유래 (Summer School on History of Mathematics 2015 - The Nine Chapters on Mathematical Art and Basics for Elliptic Curves and its History)

고영미(수원대학교), 김영욱(고려대학교), 이상욱(수원대학교)

2015-07-27 ~ 2015-07-30 |수학원리응용센터 대형세미나실 |국가수리과학연구소

본 동서양 수학사 여름학교는 대학교수, 연구원, 학생, 그리고 중등교사를 포함한 참가자들에게 동서양수학사에 대한 정보교류, 연구교류, 인력교류 등을 감안한 동양수학사의 소개와 서양수학의 일정 분야에 대한 소개를 목표로 한다. 특히 2014년 수학사 여름학교의 개최는 매우 성공적이었는데, 참가자들은 여름학교의 성공 이유로 두 가지를 꼽았다. 하나는 동양수학사로 ‘우리의 수학이 있음’을 지적하였고, 다른 하나는 서양수학사로 ‘현대 수학의 한 분야와 주제에 대한 일관된 소개와 설명’이었다. 특히 동서양의 ‘방정식론’에 대한 비교는 참가자들의 우리나라의 수학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고취시키기에 충분하였다. 또한 서양 방정식론의 역사는 현대 대수학의 현재의 모습이 왜 그러한 형태를 갖추게 되는지에 대한 이해를 도모함으로써 참가자들의 수학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켰다. 이번의 2015년 수학사 여름학교도 공히 동양수학사와 서양수학사를 다룬다. 동양수학의 경우,그 근간은 ‘구장산술’(The Nine Chapters on Mathematical Art)에 있다. 신기하게도 세종대왕께서 훈민정음을 제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조선시대 대부분의 서적은 한자로 기록되었다. 산학서도 마찬가지로 한자로 쓰였다. 그러므로 동양산학 및 수학사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한문, 특히 고대에 사용되었던 한문을 읽을 수 있어야 한다. 그의 모태가 되는 표본이 ‘구장산술’이기에 ‘구장산술’의 소개를 이번 수학사 여름학교의 동양수학사의 주제로 설정하였다. 구장산술은 한나라 때 유휘가 주를 입힌 책으로 3세기경에 출간되었다. 구장산술은 9개의 장으로 구성되었으며, 특히 7장 영부족장, 8장 방정장, 9장 구고장 등은 당시의 수학이 체계화되어가는 과정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실제 조선에 구장산술이 유입된 것은 18세기 이후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휘산법과 산학계몽 등이 구장산술을 근간으로 하여 저술된 책이기에 조선산학에도 구장산술의 영향은 여실히 나타난다.이번 여름학교의 동양수학사의 주제인 구장산술과 그의 수학(산학)에 대한 소개는 구장산술의 각 장의 중요 문제와 관련 수학 이론을 설명한 한문으로 쓰인 원문을 해석하며 수학을 설명하는 것으로 진행한다. 이러한 시도는 한문으로 쓰인 우리문화, 특히 수학문화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우리문화를 연구할 인력의 유입을 유도하는 한편, 한국수학사의 정리를 위한 출발점을 제시한다. 본 수학사 여름학교의 서양수학사의 주제로는 ‘타원곡선’(elliptic curve)을 꼽았다. Keith Deblin의 책 The Millenium Problems에서도 언급되었듯이 ‘타원곡선’은 현대 수학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나타난다. 정수론, 복소해석학, 기하학, 암호학 등 관련 분야뿐만 아니라 응용도 매우 다양하다. 특히 교통카드와 같은 스마트카드에 가장 많이 이용하는 암호로 ECC(elliptic curve cryptosystem)가 있는데 이는 타원곡선 이론을 이용한 암호체계이다. 주제를 타원곡선으로 설정함은 매우 시의 적절한 선택이기도 하다. 실제 타원곡선의역사는 디오판투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타원곡선에 대한 관심의 고조는 1901년 포앙카레에 의한 타원곡선 상에서의 유리점들에 의한 군(group)의 체계에 대한 주장부터이다. 타원곡선 이론은 방정식론과 연계가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왜냐하면 y=f(x)로 주어지는 함수식에서 f(x)가 3차 다항식이라 하고, y 대신 y 제곱을 대입하면 그것이 타원곡선을 정의하기 때문이다. 타원곡선을 소개한 많은 책들이 언급하고 있듯이 타원곡선은 실제로 타원이 아니다. 그러나 함수의 적분을 연구하던 중에 ‘타원적분’을 연구하게 되었는데 그로 인하여 얻게 된 이름이 타원곡선인 것이다. 타원곡선은 서양에서는 매우 많이, 매우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실제 타원곡선을 다룬 수학 전문서적은 상당히 많이 나와 있다. 대표적으로는 Silvermann의 Arithmetic of Elliptic Curves가 있고, Husemoller나 Koblitz, Milne 등의 많은 수학자들의 저서도 정말 많이 찾을 수 있다. 타원곡선에 관련된 논문은 수 없이 많다. 우리나라에서도 1999년 양재현 교수가 대한수학회 학술지(Communications of Korean Mathematical Society 14 (No. 3), 449-477)에 ‘타원곡선에 관한 지난 20년 간의 연구 동향’이란 제목으로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 논문에 언급된 참고문헌만 해도 40개 이상이다. 그러나 타원곡선이 시의 적절한 주제임은 2014년 서울에서 개최된 ICM에서 Fields 상을 수상한 Manjul Bhargava의 연구주제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Bhargava의 필즈상의 수상 기념 발표는 1998년에 필즈상을 수상한 영국 수학자 T. Gowers가 칭찬을 아끼지 않은 정말 훌륭한 발표였다. 아마 ICM-2014에서 그의 발표를 들은 사람은 누구나 Gowers의 평가를 인정할 것이다. 심지어 타원곡선 이론은 Hilbert의 그 유명한 23문제 중에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Riemann 가설과도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다. 바로 제타함수가 그것이다. 또한 타원곡선은 1996년 Andrew Wiles (그리고 Taylor)에 의한 Fermat의 마지막 정리의 증명에 사용되었던 Taniyama-Shimura 추측과도 관련된다. 더 나아가 Clay Math Institute에서 제시한 백만불 상금의 Millenium Problem 중 하나인 Birch and Swinnerton-Dyer 추측이 타원곡선에 대한 문제이다. 특히 Bhargava의 연구 업적이 Birch and Swinnerton-Dyer 추측의 해결을 위한 연구였던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수학자들은 대부분 타원곡선에 흥미를 느낄 것이다. 또한 2013년 11월에 고등과학원이 개소한 수학난제연구센터(CMC,Center for Mathematical Challengers)의 설립 취지인 세계 7대 난제인 Millenium Problems와 그에 관련된 수학의 미해결 고유 난제와 전략난제 등의 연구에도 일맥상통한다. 하지만 본 수학사 여름학교가 타원곡선과 관련된 난제의 해결을 목표로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수학사의 관점에서 타원곡선에 대한 수학적, 수학사적 개요 정보를 제공하려 함을 목표로 한다. Millenium Problems를 소개한 책과 논문에서도 타원곡선을 소개하고 있지만 그러한 소개는 그 분야를 전공으로 하는 수학자가 아니면 이해하기 어렵다. 본 여름학교는 Avner Ash가 저술한 Elliptic Tal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2)와 같은 수준의 타원곡선과 관련된 수학사 및 수학의 기본 이론 등을 소개함을 목표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에 열거한 내용을 포함해 타원곡선과 관련된 역사적 내용과 중요 문제들을 설명한다. - 곡선 위의 유리점과 디오판투스의 현-접선 방법 - 페르마의 합동수와 타원곡선 - 베르누이의 렘니스케이트 곡선과 오일러의 타원적분의 합의 공식 - 아벨과 쟈코비의 타원함수와 타원곡선 - 사영평면과 동차좌표 - 타원곡선의 대수적 성질 - Birch & Swinnerton-Dyer 추측 - Fields상 수상자 M. Bhargava 소개 이러한 수학사 여름학교의 동서양 수학사의 소개는 많은 사람들이 수학을 공감하고 이해하는 계기를 제시할 것이며 낮게는 수학문화의 창출에 기여하고, 높게는 수학을 연구하기 위해 수학계에 삶을 던져 넣을 연구 인력의 유입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로 인하여 우리나라의 수학 발전과 수학문화의 창출, 그리고 그로 인한 국가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자세히보기

15
리서치 스쿨

MSRI-NIMS Summer School on Random Matrix Theory

2015-06-29 ~ 2015-07-10 |CAMP |MSRI, NIMS

MSRI-NIMS Summer School on Random Matrix Theory 06/29/2015 - 07/10/2015 This summer graduate school will take place at the National Institute for Mathematical Sciences in Daejeo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ummer school is to introduce some of the basic ideas and methods of random matrix theory to graduate students.  In particular there will be three lecture series on random matrix theory from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from the view points of the integrable structures, the moment method, and the Stieltjes transorm technique.  In addition to the lectures, there will be discussion sessions, and the students will also have plenty of time to interact with the lecturers and with other students.

자세히보기

14
리서치 스쿨

2015 Summer School on Cryptography & MathCrypt 2015

2015-06-22 ~ 2015-06-26 |CAMP

NIMS지원 암호여름학교의 개최는 암호 및 정보보호에 관심을 가지는 수학자, 공학자, 학생들, 연구원들 등의 암호 연구 저 변을 확대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강연을 해줄 초빙연사들은 관련 분야의 알기 쉬운 내용 소개, 새로운 연구결과, 그 리고 유망한 연구 주제를 소개함으로써 현대 암호연구의 이해를 도모하게 할 것이며 대학원생 및 젊은 연구자들에게 연구교 류의 장을 제공함으로 그들이 향후 활발한 연구를 하여 사회에 보탬이 되는 주요 연구 인력으로 성장해나가는 기반을 마련할 것이다. 더불어 학문후속세대인 대학원생들이 학생시절부터 일찍 자신들의 연구주제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연구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등 여러 가지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자세히보기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컨텐츠담당자     인사총무팀: 권범중 042-717-5786 , 성과평가팀: 배자호 042-717-5762 , 수학문화정책연구팀: 정한영 042-717-5763 , 산업수학연구본부: 정명순 042-717-5730 , 산업수학혁신팀(판교): 박세영 031-759-9410